※ 현교 顯敎
요약: 사량(思量)·설명·해석할 수 있는 교라는 뜻.
밀교(密敎)에 대응되는 말이다. 밀종(密宗)인 진언종(眞言宗)에서는 모든 불교를 현교와 밀교로 구별하여 양교의 우열천심(優劣淺深)을 판정하고 있어, 이것을 현밀이교(顯密二敎)의 교판(敎判)이라고 한다. 이 경우 진언 밀교 이외의 법상종·삼론종·천태종·화엄종 등의 여러 종과 성문(聲聞)·연각(緣覺)의 이승(二乘) 등을 모두 현교라고 한다. 천태밀교에서는 진언종뿐만 아니라 천태종·화엄종·반야종·열반종 등의 일승교(一乘敎)를 밀교라 하고, 법상종(法相宗) 등의 삼승교(三乘敎)를 현교 또는 현시교(顯示敎)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현교 [顯敎]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밀교 密敎
요약: 현교(顯敎)에 대한 대칭어.
비밀불교(祕密佛敎) 또는 밀의(密儀)종교의 약칭. 진언(眞言)밀교라고도 하는데, 일반의 불교를 현교(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대칭어이다. 밀교는 7세기에 대승불교의 화엄(華嚴)사상 ·중관파(中觀派) ·유가행파(瑜伽行派)사상 등을 기축으로 하여 인도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하였다. 보통 밀교는 미신적인 주술(呪術) 체계로서, 성력(性力:sakti)을 숭배하는 타락된 불교로 인식되고 있으나, 그것은 힌두교의 탄트라(tantra) 신앙과 결합되어 말기에 나타난 좌도밀교(左道密敎)를 가리킬 따름이다. 정통적인 밀교사상은 개체와 전체의 신비적 합일(合一)을 목표로 하며, 그 통찰을 전신적(全身的)으로 파악하는 실천과 의례(儀禮)의 체계를 갖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밀교 [密敎]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현밀이교 顯密二敎
현교와 밀교. 현은 드러났다는 뜻. 한번 보고 알기 쉬운 것. 밀은 비밀의 뜻. 알기 어려운 것. 진언종에서 일체 불교에 있어서의 자기 종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반불교의 교리가 깊고 얕음을 비판하여 현교와 밀교로 나누어 자기 종은 밀교, 다른 종은 현교라 한 것. 현교는 부처님이 중생의 근기를 아시고, 그에 맞추어 드러나게 말한 교. 그 교리는 얕고 간략하니, 법상종ㆍ삼론종ㆍ천태종ㆍ정토종 등이 이에 속함. 밀교는 부처님이 스스로 마음에 증득하신 그대로를 말하신 교. 현교는 수단 방편으로 말씀한 교이므로 중생들 근기가 높고 낮음을 따라 각각 차별이 있으나, 밀교는 방편을 버리고 부처님이 자내증(自內證)의 절대적 경계의 그대로를 말씀한 것이므로 차별이 없다. 그러므로 교를 말씀하는 부처님도 구별이 생기게 되니, 현교의 교주는 중생교화의 방편으로 나타나신 부처님, 곧 타수용응화신(他受用應化身)이고, 밀교의 교주는 수단 방편을 여읜 절대의 본 부처님, 곧 법신비로사나불(法身毘盧舍那佛)인 대일여래(大日如來)라 한다.
[동국대학교 한글대장경 불교사전]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전해설] 마하(摩訶) (1) | 2024.01.10 |
---|---|
[불교경전] 반야심경,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전문 (0) | 2024.01.09 |
[불교용어] 승乘, 일승一乘 삼승三乘 (0) | 2023.12.20 |
[불교용어] 교외별전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 (1) | 2023.12.19 |
[불교진언] 옴 마니 반메 훔 (1)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