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공부

[불교용어] 승乘, 일승一乘 삼승三乘

by 원강유통 2023. 12. 20.

승乘, 일승一乘

 

승(乘:탈승,타다.오르다.헤아리다.)은 타는 물건이란 뜻. 깨달음에 나가게 하는 수(數)를 말한다. 
일승(一乘)이라 함은 불교의 참다운 교는 오직 하나로, 그 교에 의해서 모든 이가 고루 불타가 된다고 설(說)하는 교 이며, 삼승(三乘)이라 함은 중생의 성질이나 능력에 응해서, 성문(聲聞)ㆍ연각(緣覺)ㆍ보살(菩薩)에 고유한 3종의 깨달음에 길이 있는 것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승 [一乘]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삼승 三乘

 대승불교에서의 3종류의 가르침. 대승불교에서는 전불교를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의 3종으로 나누고, 각각 능력이 다른 3종류의 대상을 위해서 다른 가르침이 있다고 한다. 성문(聲聞)은 불(佛)의 소리에 이끌려서 자신만의 깨달음을 구하는 것이며, 연각(緣覺)은 스스로 깨달은 것, 보살(菩薩)은 자신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깨달음을 위해서 수행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성문, 연각은 자리(自利), 보살은 자리이타(自利利他)라고 한다. 

 

 이와 같이 불교에는 고저 3종의 가르침ㆍ수행법이 있으며, 각각에 대상이나 내용, 나아가서 도달할 수 있는 경지를 달리한다는 생각에 대립해서, 『법화경』 등에서는 이들 3종의 가르침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 사람을 인도하는 수단으로서 다른 설교가 된 것뿐으로, 그들은 하나의 대승불교로 돌아간다는 일승교(一乘敎)가 강조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삼승 [三乘]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성문聲聞 :

3. 불교 설법을 듣고 사제(四諦)의 이치를 깨달아 아라한이 되고자 하는 불제자.
4. 불교 삼승(三乘)의 하나. 부처의 설법을 듣고 아라한의 깨달음을 얻게 하는 교법을 이른다.

 

연각緣覺 :

1. 불교 부처의 가르침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도를 깨달은 성자(聖者). 그 지위는 보살의 아래, 성문(聲聞)의 위이다.

 

보살菩薩 :

1. 불교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 수기授記를 받은 이후의 몸.
2. 불교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 보살이 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수행을 했다.
3. 불교 삼승(三乘)의 하나. 보살이 큰 서원(誓願)을 세워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는 교법을 이른다.

[네이버 표준국어대사전]


※소승小乘

불교 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가르치는 교법. 석가모니가 죽은 지 약 100년 뒤부터 시작하여 수백 년간 지속된 교법으로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있다.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열반만을 중시한 나머지, 자유스럽고 생명력이 넘치는 참된 인간성의 구현을 소홀히 하는 데에 반발하여 대승이 일어났다.

※대승大乘

불교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 이상, 목적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소승을 비판하면서 일어난 유파로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가 이에 속한다.